동방 가톨릭 교회
최근 수정 시각: ()
분류
|
동방 가톨릭 교회 Ecclesiae Catholicae Orientales Eastern Catholic Churches | ||
교황 프란치스코와 나란히 선 동방 가톨릭 수장 일부 | ||
계통 | ||
유형 | 일신론 └유일신교 | |
지역 | 성도 | 바티칸 시국 |
신앙 지역 | 동북아와 동남아를 제외한 전 세계 | |
중앙기관 | 명칭 | 교황청(성좌) |
최고 수장 | ||
현임 교황 | ||
관할 심의원 | 명칭 | 동방교회부 |
현임 장관 | 레오나르도 산드리 | |
규모 | 약 1,800만~2,300만 명 |
1. 개요 [편집]
동방 가톨릭 교회는 로마 교황과 일치를 이루고 있으면서도, 동방 전통의 전례, 신학, 영성, 교회법을 보존하고 있는 가톨릭 교회들을 의미한다. 즉, 가톨릭 교회 전체 중에서 ‘라틴 교회’(서방 교회)에 속하지 않고, 동방 교회의 전통을 유지하면서도 교황의 수위권을 인정하는 교회들이다.
2. 역사 [편집]
동방 가톨릭 교회들은 대부분 고대 동방 정교회나 동방 정통교회로부터 분리되어, 로마 교황과 재일치한 공동체들이다. 역사적으로는 정치적, 교리적, 문화적 이유로 로마와 분리되었던 교회들이, 이후 부분적으로나마 다시 교황과의 일치를 택하면서 형성되었다.
대표적인 전환은 브레스트 연합(1596, 우크라이나 그리스 가톨릭), 페레라-플로렌스 공의회(1439, 일부 동방 교회 일치 시도) 등이 있으며, 이 과정에서 형성된 교회들이 로마와 교회적 유대를 맺되, 자신들 고유의 전례와 조직은 유지하게 되었다.
대표적인 전환은 브레스트 연합(1596, 우크라이나 그리스 가톨릭), 페레라-플로렌스 공의회(1439, 일부 동방 교회 일치 시도) 등이 있으며, 이 과정에서 형성된 교회들이 로마와 교회적 유대를 맺되, 자신들 고유의 전례와 조직은 유지하게 되었다.
3. 조직 [편집]
- 교황과의 일치동방 가톨릭 교회는 로마 교황을 교회 전체의 최고 목자로 인정한다. 따라서 교리상, 교계제도상으로는 로마 가톨릭과 일치한다.
- 전례의 다양성라틴 교회(서방 교회)는 로마 전례를 사용하지만, 동방 가톨릭 교회들은 **동방 전례(예: 비잔틴, 콥트, 아르메니아, 칼데아, 마론 등)**를 고유하게 사용한다. 미사 양식, 언어, 의복, 제의 등이 매우 다양하다.
- 신학적 표현과 영성의 차이동방 교회는 신비적이고 상징적인 표현, 관상적 기도, 성화(이콘) 중심의 예배, 신성한 전례 중심의 삶 등을 강조하며, 서방 교회와는 다른 신학적 언어와 접근법을 지닌다.
- 독자적인 교회 조직동방 가톨릭 교회는 자체의 주교단과 총대주교, 대주교, 또는 수도원장 중심의 자치를 지니며, **자체 교회법(동방 교회법)**을 따른다. 그러나 여전히 교황과 교계적 일치를 유지한다.
현재 가톨릭교회는 약 23개의 자치 교회(Sui Iuris Church)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중 1개는 라틴 교회(서방)이고, 나머지 22개가 동방 가톨릭 교회이다.
이들은 모두 “하느님의 하나이고 거룩하며 보편되고 사도적인 교회”의 일부로 간주된다.
Contents are available under the CC BY-NC-SA 2.0 KR; There could be exceptions if specified or metioned.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인정보 처리방침